맨위로가기

송산동 (의정부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산동은 조선시대 초기 송산 조견이 은거한 것에서 유래된 의정부시의 행정 구역이다. 2003년 송산1동과 송산2동으로 분동되었으며, 2020년 송산2동에서 송산3동이 분동되었다. 2024년에는 송산1동에서 고산동이 분리되었다. 현재 송산1동, 송산2동, 송산3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위치해 있고, 다양한 아파트 단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정부시의 행정 구역 - 녹양동
    녹양동은 조선 시대 군마 사육 목장이었던 녹양장에서 지명이 유래되었으며, 녹양역을 중심으로 택지 개발이 이루어져 아파트 단지가 조성된 경기도 의정부시의 행정 구역이다.
  • 의정부시의 행정 구역 - 신곡동 (의정부시)
    신곡동은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한 동으로, 과거 양주군 둔야면의 신촌리와 발곡리에서 유래되었으며, 1994년 장암동에서 분리, 1995년 분동되었고, 의정부 경전철 동오역과 여러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동 - 광교동
    광교동은 광교산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2012년 수원시 영통구에서 이의동과 하동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개발로 우수한 교육 환경을 갖추고 있으나 과밀학급 문제도 안고 있으며, 1789년에는 용인군 지내면에 속했던 역사를 가진 행정동이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동 - 부성동
    부성동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부성1동과 부성2동으로 구성되며, 과거 공업 지역에서 주거 지역으로 변화하고 상업, 주거 지역과 택지 개발, 공단 등을 포함한다.
  • 1964년 설치 - 중구동
    중구동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1914년에 설치되어 여러 차례의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3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며, 교육, 공공, 문화 시설과 국도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고,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 등 주요 문화재가 있다.
  • 1964년 설치 - 녹양동
    녹양동은 조선 시대 군마 사육 목장이었던 녹양장에서 지명이 유래되었으며, 녹양역을 중심으로 택지 개발이 이루어져 아파트 단지가 조성된 경기도 의정부시의 행정 구역이다.
송산동 (의정부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이름송산1동
한자 표기松山1洞
영문 표기Songsan 1(il)-dong
광역시도경기도
시군구의정부시
면적4.48
세대13,475
세대 조사2024년 7월
인구30,713
인구 조사2024년 7월
법정동용현동
47
266
동주민센터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로 13
홈페이지송산1동 행정복지센터
일반 정보
이름송산2동
한자 표기松山2洞
영문 표기Songsan 2(i)-dong
광역시도경기도
시군구의정부시
면적1.42
세대13,149
세대 조사2024년 7월
인구31,655
인구 조사2024년 7월
법정동민락동
38
250
동주민센터경기도 의정부시 용민로 115
홈페이지송산2동 행정복지센터
일반 정보
이름송산3동
한자 표기松山3洞
영문 표기Songsan 3(sam)-dong
광역시도경기도
시군구의정부시
면적9.31
세대17,989
세대 조사2024년 7월
인구45,101
인구 조사2024년 7월
법정동민락동, 낙양동
61
288
동주민센터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로 360
홈페이지송산3동 행정복지센터

2. 연혁

고려조선 초, 조견이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라며 벼슬을 버리고 송산에서 은거하면서 송산이라는 지명이 유래되었다.[2]

2003년 2월 3일 민락·송산택지개발로 인구가 과밀해져 송산1동(용현동·고산동·산곡동)과 송산2동(민락동·낙양동)으로 분동되었다. 2020년 1월 13일 송산2동의 주민등록 인구가 7만 명을 넘어 송산3동이 송산2동에서 분동되었다. 2024년 7월 1일 고산동(법정동: 고산동·산곡동)이 송산1동에서 분리되었다.[1]

3. 행정 구역

의정부시송산동은 송산1동, 송산2동, 송산3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송산1동은 용현동, 송산2동과 송산3동은 민락동 일부를, 송산3동은 낙양동도 관할한다.

3. 1. 송산1동

1914년 4월 1일 부군면 통폐합으로 시북면 어룡리와 둔야면 양현리, 탑석리가 시둔면 용현리로 통합되었고, 1964년 6월 1일 동제(洞制) 실시에 따라 용현동이 되었다.[2]

3. 2. 송산2동

민락동 일부

3. 3. 송산3동

민락동 일부, 낙양동

4. 교육

5. 아파트

단지명건설사시행사주소입주비고
신도파크힐타운 (10차)신도종합건설신도종합건설용현로 42용현동2001년 10월
신도브래뉴신도브래뉴지역주택조합용현로 722006년 1월
신도브래뉴 PLUS (11차)하나로디엔씨㈜용민로21번길 632006년 11월
송산주공 1단지동서개발대한주택공사부용로 2332002년 8월
송산팰리스구 송산주공2단지㈜동국S&C
㈜성원산업개발
효자로 25민락동2002년 6월
송산주공 3단지효성중공업효자로 402003년 8월국민임대
탑석드림캐슬구 송산주공 4단지대아건설㈜오목로 722002년 6월
민락주공 2단지한양오목로 1501999년 8월
송산리버빌구 송산주공5단지송현로 872000년 10월
송산그랜드캐슬구 송산주공6단지효자로 26
송산센트럴구 송산주공7단지금호산업㈜용현로 1182002년 8월
산들마을 아이파크현대산업개발
동양고속건설, 대림산업
오목로 1701999년 10월
산들마을 현대신안길훈현대산업개발
신안건설산업㈜, ㈜길훈종합건설
용현로 143
송산 푸르지오대우건설㈜새창조건설용현로 1112005년 1월
민락 호반베르디움 1차호반건설민락로 2112017년 7월
민락 호반베르디움 3차호반티에스㈜
호반건설
티에스리빙㈜송양로 932017년 10월
민락 호반베르디움 2차호반비오토㈜
호반건설
㈜스카이건설송양로 16낙양동2017년 8월
민락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반도건설㈜대창개발2017년 9월
민락 푸르지오대우건설송양로 462015년 7월
민락 대광로제비앙 포레스트대광건영㈜㈜대광에이엠씨2018년 10월
민락 우미린 더스카이우미건설
㈜우미토건
전승건설㈜송양로 762018년 8월


참조

[1] 간행물 행정동 및 관할구역(법정동) 변경내역(2024.7.1. 시행) https://www.mois.go.[...] 행정안전부 2024-06-21
[2] 간행물 연혁 및 유래 https://www.ui4u.go.[...] 송산1동 주민센터 2018-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